-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04)
pencilk
여행이란 가지 못한 길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 언젠가, 아마도소설가 김연수가 2013년부터 2017년 9월호까지 론리플래닛 매거진 코리아에 연재했던 칼럼에 새로 쓴 글을 더해 펴낸 여행 산문집 『언젠가, 아마도』. 가장 순수한 여행의 경험은 여행지에서 자신과 같은 인간을 만날 때라고 생각하는 저자가 몽골, 러시아, 스페인, 포르투갈, 독일, 태국, 일본, 이란, 중국, 실크로드 등 해외의 여러 지역과 순천, 부산, 대구 등 국내 도시를 넘나들며 낯선 감정과 사람, 경험을 통해 일상 속에서 무심히 지나치던 것을 새롭게 바라보고, 깊숙이 묻어둔 기억을 되살리기도 하며, 뜻밖의 깨달음을 얻었던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준다. 어딘가로 향하는 길 위에서, 낯선 도시에서, 그도 아니면 여정이 끝난 뒤에 마주하는 어..

뉴스룸 보고나서 MBC 뉴스 보는데 좀 놀랐다. 2020년 새해의 첫날 뉴스를 4.19 60주년, 5.18 40주년으로 해석하고 아직 남아 있는 역사적 과제들과 사회적 화두들을 제시한다. 이런 게 우리가 기대하는 언론의 역할 아닌가. 시기 적절하게 다양한 여론조사도 했다.유시민과 김어준의 히틀러 나치식 선동에 현혹된 국민들의 수준이 이렇다 진중권아.
보고 알게 된 사실들 1. 진중권은 동양대에 사표를 냈고 매우 화가 나있다. 2. 진중권은 최근 진보 쪽 지지 세력에게 공격을 당하고 있어서 매우 억울하고, 이 모든 게 인기 많은 유시민이 알릴레오로 그들을 현혹해서라고 생각한다. 3. 진중권은 국민들을 매우 한심한 존재로 보고 있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유시민이나 김어준의 말만 듣고 제대로 된 판단을 할 수 없는 지경으로 묘사) 4. 진중권은 조민이 봉사활동을 하지 않았고 정경심 교수가 표창장을 위조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이 '사실'이라고 '주장'한다. (본인이 그것이 '사실'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직접 취재를 했고 확인을 했기 때문이라고 함.) 5. 알릴레오에 현혹된 세력들이 기존 레거시 미디어들 중 열심히 취재해서 사실을 보도한 기자들만 골라서 ..
어제 앵커브리핑의 내용은 마치, 언론은 아무 잘못이 없는데 그저 우매한 시민들이 - 언론이 내 편 안 들어줘서 화내고 - 언론이 아닌 자기 입맛에 맞는 유투브를 본다 고 말하는 것 같아서 아찔했다. 손석희와 JTBC, 지켜보고 있다. 모두가 언론을 불신하고 기레기라고 기자를 욕할 때도 JTBC는 예외였는데, 이제 본인들도 그 안에 들어가고 나니 당황한 것이 느껴진다. 하지만 여기서 자기 반성 없이 시민 탓을 한다면, 정말 실망이고 최악인데. 일단은, 그래도 좀 더 지켜보기로 한다. 그런데 한계점의 거의 7-80%까지 차올랐다.
J 라이브에서 정연주 KBS 전 사장은 기자라는 직업에 대한 회의를 말하고, 정준희 교수는 언론을 비판하지만 바꿀 수는 없는 언론학자의 역할에 대한 회의감을 이야기하며 눈물까지 보였다. 그리고 오늘, 손석희는 앵커브리핑에서 씁쓸한 표정으로 더이상 사람들이 믿지 않는 언론에 대해 말한다. ‘그것이 정의로운 일이라고 철썩같이 믿고 늘 하던 대로 누구보다 열심히 해왔을 뿐인데, 갑자기 기레기로 몰리며 비판받는 이 상황’을 견디기 힘들어하는 것이 느껴진다. 언론이 다른 누군가를 의심하고 비판하는 것은 당연하면서 그들 자신이 그 대상이 되었을 때는 받아들이지 못한다. KBS의 김덕훈 기자의 태도를 보면, 그 와중에도 쎈 척하느라 “그 정도 욕 먹었다고 퇴사하지 않습니다” 따위의 말이나 하며 자신이 혹은 기자들이..

백만년만에 티스토리로 컴백. 스킨 설정을 이것저것 변경해보다가 별 생각없이 통계에 들어갔더니 ㅋㅋㅋ 재밌네. 무려 2003년 대학생 시절에 썼던 키워드 기사. 다시 읽어보니 내가 지금 욕하는 기레기들과 다를 게 뭔가 싶은 그지같은 글이로군. 창피해서 비공개로 돌렸다. 요즘 진짜 자주 생각하는 거지만 기자가 되지 못해서 참 다행이야. (기자가 되지 않아서 라고 썼다가 지움. 여러 신문사에 지원했던 건 사실이니 기자가 안 된 게 아니라 못 된 것이 맞다. 얼마나 다행인지ㅋ) 기자라는 직업 자체를 비하할 생각은 없지만, 2019년 현재 대한민국에 괜찮은 기자는 과연 몇명이나 있을지.
내가 블로그에 works라는 폴더를 만들어놓고 서비스 오픈하면 글을 올리기도 했었구나. 그때는 고생한 만큼 뿌듯해서 글도 올리고 했었는데 언젠가부터 너무 덤덤해졌다.

2015. 11. 8. 도쿄 출장 마지막 주에는 한국에 돌아와 뻗었기 때문에 나름 부지런히 해오던 도쿄 출장 포스팅도 자연히 끊겼다. 그래도 다른 글 쓰려다가 마무리는 해야 할 것 같아서, 도쿄 출장 마지막 주 사진 포스팅. 마지막 주라 찍은 사진도 몇 없다. 출장 마지막 주에는 대망의(;) 서비스 리셀러 오픈이 있었고, 오픈한 날 비-루 잇빠이 마시며 다들 한탄대회를 했다. 하지만 금요일이면 기나긴 4주간의 출장도 끝나고 한국으로 출소(!)한다는 사실이 우리의 가장 큰 위안이었지. 마지막 주다 보니 역시 회식의 연속, 연속. 한국 출소 전날 시부야 오피스에서 찍은 마지막 노을. 사실 도쿄에 있었던 4주 내내, 마지막 주는 특히 더 폭우로 고생했는데 출국 전날 거짓말처럼 날이 갰다. 드디어 출소하던 날,..